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세플라스틱2

반응형
고기 1인분 먹을 때마다 미세 플라스틱 7,200개 섭취한다. 마트의 흡수패드에 담긴 고기 표면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200그램 당 1.6밀리그램으로 머리카락 굵기의 미세 플라스틱으로 환산하면 7,200개이다. 한 근에는 21,600개, 1인분에 7,200개의 미세 플라스틱을 먹는 셈인데, 미세 플라스틱은 호흡기, 혈관 등 장기에 침투해 면역 반응 등을 일으킬 수 있다하니 걱정이다. SAP는 원료 생산 과정에서도 독성 우려 물질이 혼입 될 가능성이 있어서, 미국 FDA는 용기에 SAP 사용 시 비중을 제한한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관련 규정이 없다. 이 내용이 많이 알려져 하루 빨리 관련 법안이 만들어지길 바란다. 관련 기사 보기. SBS 뉴스 고기 핏물 흡수패드서 '미세 플라스틱' 첫 검출 소고기나 돼지고기 구입하시면 포장 용기 안에 고기 .. 2021. 10. 20.
코로나에 안전한 마스크 재사용 방법 및 주의사항 1. 에탄올로 소독하기 코로나바이러스를 묻힌 KF-94마스크에 정제수 50:에탄올 50으로 섞은 알코올을 5cm 이내에서 3번 분무한 후 잘 말려준 결과 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멸 2. 햇빛에 96시간 노출시키기 바이러스를 묻힌 마스크를 태양광에 96시간 걸어둔 결과 완전히 사멸 3. UV-C 소독기로 소독하기 그릇이나 칫솔, 아기 젖병 등을 소독하는데 쓰이는 UV-C와 또 다른 파장인 UV-B에서는 1분 만에 사멸 주의사항 1. 스팀다리미 소독은 바이러스가 완벽하게 사멸되지 않으므로 주의 2. 마스크를 철 위에 올려놓으면 정전기가 철로 이동해 마스크 필터 효과가 감소 3. 마스크 자수는 바늘이 왔다 갔다 하면서 생기는 구멍으로 바이러스가 침투할 가능성이 있음 코로나19가 발생한 지 1년 6개월이 지난 지금.. 2021.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