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한가2 반응형 [슬기로운 투자 생활] 15. 시가 매매와 종가 매매 기법 [슬기로운 투자 생활] 15. 시가 매매와 종가 매매 기법 보통 시초가 매수를 하는 경우 당일 종목의 강세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시초가 최저가일 가능성을 타진하면서 시초가 주문을 넣는 경우이다. 시초가 매매 기법 - 강력한 재료 보유종목 보통 M&A나 A&D 등의 강력한 재료가 장시작 이전에 시장에 재료 노출이 되는 경우, 아침부터 엄청난 매수세가 몰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그재료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면서 얼마나 일찍 주문을 넣느냐에 승패가 좌우된다. 이때 만일 그 상승 강도가 예상보다 작다거나 시초가를 붕괴시킨다라면 더 이상의 미련을 두어서는 안 된다. - 시초가 강세가 예상되는 종목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이틀연속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이나 전일 상한가 강도가 상당히 강한 종목의 경우 다음날 추가적인 상.. 2020. 9. 16. [슬기로운 투자 생활] 14. 상한가 매매 기법 [슬기로운 투자 생활] 14. 상한가 매매 기법 - 첫상한가 종목은 거래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신뢰도가 크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한가를 이용하는 데이세력에 의한 거래량 증가가 많은 만큼 처음 상한가를 기록하는 시점에서의 거래량 수준이 상당히 중요하다. 예를들어 평균 거래량 20만주의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하는 시점에서는 최소한 20~30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해야 하며 여기서 평균거래량에 미치지 못하는 거래량으로 상한가를 기록한다라면 추가적인 매물소화과정 때문에 재차 하락반전될 가능성이 큰만큼 거래없이 상한가 들어가는 종목에 대해서는 다소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반대로 상한가 기록 이후 지속적인 상한가 풀림을 통해 거래량 증가를 보이는 종목역시도 다음날 커다란 시세를 기대할수 없다. 거래량 증가 측.. 2020. 9. 15. 이전 1 다음